근두암종병
▶ 병 증상 : 이 병은 본포 뿐만 아니라 묘포에서도 발생하고, 특히 거봉 등의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암종인 혹증상은 주로 근두와 땅가 부위의 줄기에서 형성된다. 병이 진전되어 혹이 커지면 혹의 표면이 거칠고 울퉁불퉁해지며 암갈색으로 변한다.
또한 부정형으로 생긴 여러 개의 혹이 다발로 생겨 줄기와 뿌리의 감염부위를 혹으로 둘러싸기도 한다. 이 병은 오래된 줄기 뿐만 아니라 2∼3년생의 가지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병든 부위의 위쪽은 영양분이나 수분의 이동이 저해되어 생장이 부진하게 되고, 잎이 작고 누렇게 변한다. 병든 나무의 포도송이는 위축되어 일찍 말라 죽기도 한다.
▶ 방 제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옥수수 등 화본과 작물을 장기간 재배한다.
○작업시 나무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뿌리나 줄기를 가해하는 곤충을 방제한다.
○접목은 지상으로부터 1m 이상 높은 부위에 한다.
○겨울에 나무가 동해를 입지 않도록 볏짚 등으로 피복하거나 줄기를 땅속에 휘묻이 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노 균 병
▶ 병 증상 : 주로 잎과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초기에 담황색 내지 담갈색의 부정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갈색의 부정형으로 확대되며, 잎 뒷면에는 하얀 곰팡이가 밀생하게 된다. 심하게 병든 잎은 일찍 말라 죽는다.
병든 과실은 황록색 내지 갈색으로 변해 경화되며 갈라지기도 한다. 병든 새순이나 꽃은 후에 말라 죽으며, 병 발생이 심한 나무의 과실은 당도와 품질이 떨어진다.
▶ 방 제
○배수를 철저히 하여 과수원이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병든 가지와 낙엽은 모아서 불에 태우고,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디치수화제 등 24종이 등록되어 있다.
흰가루병
▶ 병 증상 : 잎, 덩굴, 과실 등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백색 내지 백록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반점이 융합되어 커지며, 병반상에는 밀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밀생하게 된다. 병든 잎은 기형이 되고 퇴색하며, 후에 병반상에는 자낭각이 형성되어 흑색의 작은 점으로 보인다. 병든 과실은 생장이 저해되고, 기형으로 변하기도 하며 설 익은 채 굳어지게 된다.
▶ 방 제
○병든 잎은 모아서 불에 태운다.
○포도나무의 밀식을 피하고,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하고, 월동 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리프졸수화제 등 9종이 등록되어 있다.
갈색무늬병
▶ 병 증상 : 주로 성숙한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갈색 내지 흑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직경 1∼2㎝ 크기의 다각형 병반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의 주위는 담황색을 띠게 된다. 심하게 병든 잎은 암갈색으로 변해 말라죽으며, 병 발생이 심한 나무의 과실은 품질이 매우 떨어진다.
▶ 방 제
○수확 후 병든 잎과 줄기의 거친 껍질은 긁어모아 불에 태운다.
○포도나무의 밀식을 피하고, 통풍을 좋게 해 주고 월동 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디치액상수화제 등 7종이 등록되어 있다.
탄 저 병
▶ 병 증상 : 성숙기의 과실에 주로 발생한다. 처음에는 담갈색의 작은 원형 반점이 과실 전면에 발생하고, 진전되면 반점이 적갈색 내지 암갈색으로 변하며, 불규칙한 병반으로 확대된다. 후에 병반에는 포자층이 형성되어 흑색의 작은 점으로 보이며, 담황색의 분생포자덩어리가 형성된다. 오래된 병반은 주로 겹무늬증상으로 나타난다.
▶ 방 제
○휴면기와 병 발생 초기에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가벤다·이프로수화제 등 18종이 등록되어 있다.
새눈무늬병
▶ 병 증상 : 잎, 과실, 줄기 및 덩굴손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잎맥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중심부위가 회백색 내지 갈색을 띤 원형 내지 타원형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난다. 진전되면 검은 반점이 확대되어 구멍이 뚫리기도 하며, 잎의 생장이 정지되고 기형화 된다. 과실에서는 초기에 흑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병반이 약간 움푹 들어가며 안쪽은 회백색 내지 흑자색으로 변해 새의 눈처럼 보인다. 병든 과실은 딱딱하고, 신맛이 난다.
▶ 방 제
○건전한 묘목을 선별하여 재배한다.
○병 발생 초기에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베노밀수화제 등 10여종이 등록되어 있다. ♣
또한 부정형으로 생긴 여러 개의 혹이 다발로 생겨 줄기와 뿌리의 감염부위를 혹으로 둘러싸기도 한다. 이 병은 오래된 줄기 뿐만 아니라 2∼3년생의 가지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병든 부위의 위쪽은 영양분이나 수분의 이동이 저해되어 생장이 부진하게 되고, 잎이 작고 누렇게 변한다. 병든 나무의 포도송이는 위축되어 일찍 말라 죽기도 한다.
▶ 방 제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옥수수 등 화본과 작물을 장기간 재배한다.
○작업시 나무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뿌리나 줄기를 가해하는 곤충을 방제한다.
○접목은 지상으로부터 1m 이상 높은 부위에 한다.
○겨울에 나무가 동해를 입지 않도록 볏짚 등으로 피복하거나 줄기를 땅속에 휘묻이 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노 균 병
병든 과실은 황록색 내지 갈색으로 변해 경화되며 갈라지기도 한다. 병든 새순이나 꽃은 후에 말라 죽으며, 병 발생이 심한 나무의 과실은 당도와 품질이 떨어진다.
▶ 방 제
○배수를 철저히 하여 과수원이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병든 가지와 낙엽은 모아서 불에 태우고,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디치수화제 등 24종이 등록되어 있다.
흰가루병
▶ 방 제
○병든 잎은 모아서 불에 태운다.
○포도나무의 밀식을 피하고,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하고, 월동 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리프졸수화제 등 9종이 등록되어 있다.
갈색무늬병
▶ 방 제
○수확 후 병든 잎과 줄기의 거친 껍질은 긁어모아 불에 태운다.
○포도나무의 밀식을 피하고, 통풍을 좋게 해 주고 월동 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병 발생 초기부터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디치액상수화제 등 7종이 등록되어 있다.
탄 저 병
▶ 방 제
○휴면기와 병 발생 초기에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가벤다·이프로수화제 등 18종이 등록되어 있다.
새눈무늬병
▶ 방 제
○건전한 묘목을 선별하여 재배한다.
○병 발생 초기에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고시약제로는 베노밀수화제 등 10여종이 등록되어 있다. ♣
출처 : 다락골사랑-누촌애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Re:2005년 포도농사일지(야초님 참고하세요) (0) | 2009.07.02 |
---|---|
[스크랩] 머루 간이비가림 봉지재배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의 결실관리.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재배-수형(옥천포도시험장)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재배-전정(옥천포도시험장) (0) | 200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