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형의 분류 |
포도나무는 자신의 가지나 과실을 지탱하기 위해서 자연 상태에서는 덩굴손을 이용하여 다른 나무의 줄기 등을 감아 이용하는데 인위적으로 재배할 때는 신초를 유인하기 위한 적당한 덕이나 울타리가 필요하다. 포도나무는 덩굴성 과수로 비교적 쉽게 여러 가지 수형을 구성할 수 있는데 지주의 설치방법에 따라 크게 울타리형, 평덕형, 그루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울타리 수형과 평덕형 수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 울타리형 : 웨이크만식, 니핀식, 개량니핀식, 제네바 이중커튼식, 귀요식, 만즈레인컷식 등 - 평 덕 형 : 일자형, 개량일자형, H자형(양방향 2주지, 양방향 4주지), 올백형, 우산형, X자형 등 - 그 루 형 : 수직 코돈식 등 |
▩ 수형의 선택 | |||||||||
수형의 선택은 재배지역의 기후조건, 토양조건(비옥도, 경사도, 배수조건) 그리고 재배품종 특성 등을 고 려하여야 하고 또한 수형을 구성하기 위한 울타리나 덕의 설치비용, 작업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종합 적으로 검토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 |||||||||
<표 1> 울타리형과 평덕형 수형의 장 · 단점 비교
|
▩ 수형의 구성 방법 |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수형은 주로 울타리형의 경우 웨이크만식이 대표적이며 그 외 니핀식과 개량니핀식 수형을 일부 사용하고 있다. 평덕형 수형에서는 대부분 일자형수형(개량일자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내한성이 약한 거봉 재배농가의 경우는 겨울철 월동을 위해 독특한 방식의 축소 X자형 수형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고 있는 수형과 앞으로 도입하여 사용할 수형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
▩ 울타리형 | ||||||||||||||||||
울타리형 주로 단초전정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품종에서 이용하는데 수형 구성이 비교적 쉽고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다. 내한성이 약한 품종의 경우 땅에 묻어 월동시키기에도 편리하나, 과방의 위치가 지표 면에 가까워 과습시 병해발생이 우려된다. | ||||||||||||||||||
|
▩ 평덕형 | ||||||||||||||||||||||||||||||||||||||||||||
생육기간 중 비가 많이 오고 바람의 피해가 심한 곳에서 덕을 만들고 원줄기를 덕 밑까지 높게 키워 여러 형태로 원가지, 열매어미가지 등을 배열시키는 방법이다. 열매가 높은 곳에 달리기 때문에 과습(過濕)과 다우(多雨)조건 하에서 병해발생이 적은 잇점이 있다. | ||||||||||||||||||||||||||||||||||||||||||||
|
출처 : 다락골사랑-누촌애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도나무의 병해방제는 이렇게 … (0) | 2009.07.02 |
---|---|
[스크랩] 포도의 결실관리.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재배-전정(옥천포도시험장)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재배-신초 및 결실관리(옥천포도시험장)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재배-12월 관리방법. (0) | 200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