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스크랩] 패철 (나경) 보는 법 (2층 팔요살 )

태함산 2015. 2. 12. 15:58

패철 (나경) 보는 법  (2층 팔요살 )

 

2층은 1층 보다는 좀더 복잡하다고 하겠 습니다.

1층은 황천살이나, 용상팔살을 보는데  팔산(팔괘-8등분)으로 묶어 보지만 

2층은  4층의 쌍산(동궁)의 참고 사항으로 표시된 것입니다.

 

예 : 임자계(감용, 감괘)를 볼때는  진향이나 술향, 진방이나 술방 등으로 물의 來去水를 보아 조금 쉬웠지만 2층은 향으로도 보고 좌로도 보며 앞에 있는 한칸씩을 더 보아야 하니 조금 어렵습니다.

 

2층역시 4층 좌를 볼때 참고하라는 것입니다. 주로 바람을 본다 하여 팔요풍이라고도 하지만 바람만 보았어는 아니되고 바람,물, 사 , 돌 그 방위에 있는 살 전부를 본다고 하면 쉽겠죠.....

 

1층과 보는 것은 같은데 하필 한칸을 더 만들었을까요?

복잡하여 1층 에 표시를 다못하여 한칸 더 만들었다고 하면 빨리 이해 가 가리라 봅니다.

엄밀히 따지면 1층은 물  2층은 바람을 보라고 만든 것이지만  殺을 보기 위함이니 전부를 다 보는 것입니다. (용상 팔살은 배제)

 

조금 복잡한 것을 예로 들겠습니다. 물론 한번더 중복 하여 다음에 설명이 있겟지만

우선 여기서도 1차로.....

 

4층 艮寅( 동궁, 쌍산자)앞 2층에(艮자 앞)보면 甲癸라고 적혀 있을 것입니다.

甲의 뜻은 간인맥이나 간인좌일때(산소) 간좌나 인좌의 산소 왼쪽 어깨가 뚥리거나 함몰 약간 들어가 바람이 어깨넘어로 더나들면 안되고 그리고 혈(산소)뒤로(보통 횡룡결혈) 바람이 더나 들면 안된다는 뜻입니다.

 

즉 청룡 어깨가 凹함 하면 안된다는 것이죠   

백호방 역시 같습니다.

그럼 계의 뜻 역시도 계앞에 축이 있어니 계축방으로 바람이 드나 들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두자가 들어 간것도 있고 한자가 있는 것도 있죠 한자가 있는 4층의 壬子를 보겠습니다.

壬과子의 子앞에는 乾이라는 한글자 그것은 우측 어깨 즉 壬坐나 子坐의 묘를 쓰거나 입수 맥일때 건방, 해방, 임방, 자방이 凹함 하여 바람이 드나 들면 안된다는 뜻입니다.

 

또 향에 좌와 같이  적용 하는 예가 있어나 바람이나 물을 적용 하면 다른 이법 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략 합니다.

 

다음장에는 그림으로 설명 올리겠습니다.

좋은 밤 되십시오......   

출처 : 실전 생활 풍수지리
글쓴이 : 學人 鄭喚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