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도의 결과습성과 전정, 울타리식수형, 평덕식수형, 겨울철 전정법 |
1. 포도의 결과습성 | ||||||||||||||||||||||||||||||||||||||||||||||||||||||||
.... | O 포도나무는 지난해 가지의 마디마다 형성된 눈에서 새가지가 자라 열매 맺음. 이 새가지를 열매가지라하고 이 열매가지가 나온 지난해 가지를 결과모지라 함. O 새가지에는 대체로 2∼3개의 꽃송이가 달리는데 새가지는 셋째 및 넷째 마디에 꽃송이가 달림. O 포도눈은 발아하면 새가지가 나오고 그 위에 꽃송이가 달리 므로 혼합꽃눈임. 꽃눈분화가 쉬워 재식후 이듬해부터 결실이 가능하며 그후 해걸이 없이 매년 결실함. O 포도송이가 달릴수 있는 눈은 1년생 가지에만 형성되고 2년생 이상의 가지에는 형성되지 않음. O 포도의 꽃눈이 분화되기 시작하는 시기는 5월 중하순경 새가지의 밑부분 2∼3마디부터 분화기기 시작하며, 꽃눈의 분화는 수체의 영양조건에 따라 크게 영양을 받는다. |
![]() ▲ 포도의 결과습성 | ||||||||||||||||||||||||||||||||||||||||||||||||||||||
2. 결과습성과 전정 | ||||||||||||||||||||||||||||||||||||||||||||||||||||||||
O 당년에 자란 1년생 가지는 이듬해에는 결과모지가 되며 전정의 대상이 되므로 이 가지의 꽃눈발달 상태에 따라 전정법이 달라짐. O 결과모지의 꽃눈위치 분화정도에 따라 기부(1∼2마디)의 꽃눈이 충실한 경우 단초전정 → 캠벨얼리, 다노레드, 블랙함부르크, 골든퀸, 마스캇 함부르크, 마스캇 오브 알렉산드리아, 크로콜만 등 O 기부의 꽃눈착생이 불량하고 윗부분(7∼8마디)의 눈에 꽃눈 착이 양호한 경우 장초전정 → 거봉, 갑주, 새단, 힘로드씨드리스 O 델라웨어와 마스캇 베리 에이 등은 중간성질 가짐. | ||||||||||||||||||||||||||||||||||||||||||||||||||||||||
3. 수형과 전정 | ||||||||||||||||||||||||||||||||||||||||||||||||||||||||
|
O 2그루형은 유럽처럼 생육기간의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 적합한 수형임. O 울타리식 수형중 웨이크만식, 개량 먼슨식, 개량 니핀닉 수형은 단초전정
|
[평덕식 수형] | ||||||||||
O 생육기간중 비가 많고 바람의 피해가 심한 일본에서 발전된 수형으로 덕을 설치하고 덕위에 원가지 결과모지등을 배열 O 포도송이가 지상에서 1.5m이상 높게 위치하여 병해발생이 적고 비가림 재배에도 유리하나 대형 농기게 투입이 곤란하고 결실 및 새가지 관리시 손을 머리위로 올리고 고개를 들어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려움. O 덕식에는 단초전정을 위주로 하는 일자, H, WH, (쌍방4가지형), 올백형 등 O 중장초 전정은 위주로 하는 X, 일자자연형, 울타리식의 장점을 도입한 혼합형, 밀식재배시 이용하는 우산형 등 | ||||||||||
일자형 수형 | ||||||||||
.... |
| |||||||||
![]() | ||||||||||
| ||||||||||
변형일자형 수형 | ||||||||||
- 일자형 및 웨이크만식 수형의 장점을 모아 개량한 수형 - 평덕식의 일자형 정지에서 원가지를 유인하는 철선을 지상 1.5m내외의 높이에 설치하여 원가지에서 나오는 새가지를 웨이크만식 수형과 같이 원가지의 직각뱡향으로 비스듬히 덕위에 유인시킴. - 경북 김천과 그 일부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로 웨이크만식 수형보다 수광량이 많아 포도의 품질 및 착색도 향상 되고 일문자 수형에 비해 착과위치가 가슴부위에 있어서 과실 다루기가 편함. | ||||||||||
우산형 수형 | ||||||||||
- 밀식재배에 많이 이용
| ||||||||||
| ||||||||||
H자형과 WH형 수형 | ||||||||||
< H자형수형과 WH형(쌍방4원가지형) 수형 > - H자형 수형은 원가지를 좌우 각각 2개씩 모두 4개를 영문의 H자 모양으로 배열하는 수형. - 그중의 일자형 결과모지는 일자형에서와 같이 단초전정 위주로 함. 원가지 거리는 2∼2.1m 정도로 함. - 수형은 일자형보다 재식거리와 수관크기가 두배가 되므로 토심이 깊고 비옥하여 나무가 왕성하게 자라는 포도원과 세력이 강한 품종에 적당 | ||||||||||
![]() < H자형수형과 WH형(쌍방4원가지형) 수형 > | ||||||||||
올백식 수형 | ||||||||||
- 경사지 재배시 윗방향 원가지는 세력이 강해지나 아래쪽 원가지는 세력이 약화. 올백식 수형은 원가지를 경사의 윗방향으로만 키우는 수형 - 원가지 수는 대개 1∼2개를 키우고 재식거리가 2m면 1개, 4m면 2개, 8m면 4개임 - 원가지 길이는 4∼5m, 원가지를 1개로 할 때는 10a당 100∼125주, 2개로 할 때는 50∼62주가 됨. | ||||||||||
![]() | ||||||||||
X자형 수형 | ||||||||||
| ||||||||||
축소 X자형 수형 | ||||||||||
- 안성, 천안의 거봉재배에서 이용 - 덧원가지 없이 원가지에 곁가지를 길게 붙이고 결과모지는 매년 중,장초로 전정하여 갱신
| ||||||||||
일자자연형 수형 | ||||||||||
- 덕식 포도원에서 거봉계통의 포도에 가장 알맞은 수형 - 원가지에 곁가지를 형성시키고 곁가지상의 결과모지는 장초로 전정 - 주간거리는 재식초기는 3m로 하였다가 간벌하여 6m로 함. | ||||||||||
![]() | ||||||||||
[겨울철 전정법 ] | ||||||||||
1. 전정시 결과모지의 선별요령 | ||||||||||
.... | O 전정시 결과모지를 남기고 전정하는 이유 : 발아율, 새가지의 신장, 송이의 크기 및 모양, 착립률 등 포도결실에 영향 O 결과모지의 생장 상태의 형태적 특성(거봉) | |||||||||
| ||||||||||
2. 전정시기형 | ||||||||||
O 동계전정 : 낙엽된 후 2∼3주인 12월 상중순부터 수액이 이동하기 전인 2월 중하순까지 끝내야 함. O 포도가지는 속이 크고 조직이 연하므로 다른 과수와 같이 눈 바로 위에서 자르면 눈이 마르거나 발육이 불량해짐 O 동해 위험지역에서는 해빙직후인 3월경에 하는 것이 좋음. | ||||||||||
3. 전정정도 | ||||||||||
O 지나친 강전정은 결과모지 수가 부족하여 수량감소, 새가지 웃자라 결실불량 | ||||||||||
4. 장초전정 및 단초전정의 장단점 | ||||||||||
|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도나무 재배법(8)-재배기술-과수원조성 (0) | 2009.07.02 |
---|---|
[스크랩] 포도나무 재배법(9)-재배기술-거름주기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 재배법(57)-포도의 수확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 재배법(61)-포도주 제조법 (0) | 2009.07.02 |
[스크랩] 포도나무 재배법(63)-포도쨈 제조법 (0) | 200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