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스크랩] ‘농업용어’ 알기쉬운 우리말로 바꿔쓰세요

태함산 2015. 11. 20. 11:37

//

‘농업용어’ 알기쉬운 우리말로 바꿔쓰세요

농식품부·농진청, 일본식용어 등 109개 순화 나서
매달 순우리말 용어 5개씩 선정해 적극 홍보키로


포토뉴스
 “수도에 다비하면 도복한다.” 한자를 잘 모르는 신세대 귀농인이 읽는다면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쉽지 않은 표현이다. 이는 “논벼에 비료를 많이 주면 잘 쓰러진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농업용어는 한자어이거나 일본식 표현이 주를 이룬다. 일제강점기에 쓰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농업을 처음 접하는 귀농인이나 젊은층들은 뜻을 단박에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한자와 일본식 농업용어를 우리말로 바꿔 쓰려고 상당한 노력을 쏟은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그러나 농촌현장은 물론 연구기관 발간자료에서도 여전히 관행적 농업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에 농진청과 협의해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농업용어 109개를 우선 선정해 우리말로 순화하기로 했다. 특히 한글날이 있는 10월부터 매달 ‘이달의 순우리말 농업용어’를 5개씩 선정, 국민과 소통하는 농업용어로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10월의 농업용어는 시비(비료주기), 수도(논벼), 위조(시듦), 도복(쓰러짐), 천식(얕게심기) 등 5개 한자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관련 기관과 협조해 우리말 농업용어에 대한 다각적인 홍보를 전개하고, 농업 관련 법령 등을 제ㆍ개정할 때 우리말로 바꿔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농업용어 109개와 이달의 순우리말 농업용어는 농식품부(www.mafra.go.kr)와 농진청(www.rda.go.kr), 한국농어촌공사(www.ekr.or.kr),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www.epis.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농민신문 남우균 기자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³о산골 전원주택이야기о³°`"″´·, 

용인전원주택 전원주택단지 양평전원주택 전원주택시공 전원주택매매 전원주택분양 전원주택설계 전원주택급매물 제주도 전원주택 양평전원주택 급매물 전원주택짓기 전원주택사진 용인전원주택단지 경기도전원주택 여주전원주택 강화전원주택 전원주택 건축비 이동식주택 이동식목조주택 단독주택 효소건강다이어트

 

 

 
//

출처 : 산골 전원주택이야기(전원 황토 농가주택 땅 토지 부동산 )
글쓴이 : 솔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