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 1. 상서조생의 성숙기
상서조생은 일본 나라현 西吉野村 湯川의 上西嘉一씨가 1972년 송본조생부유 품종의 묘목 20주를 재식하였다. 그 가운데 1주가 풀베기 작업중 부주의로 접목 부위가 예초기에 의해 잘려 나가고 그 부위에서 새로운 신초가 발생되었다. 그후 그 신초에서 결실된 과실이 송본조생부유보다 숙기가 빠른 것을 발견하고 여러 해에 걸쳐 그것을 확인하였다. 1979년 그 나무에서 접수를 채취하여 묘목을 만들어 재식하였고 새로 재식된 묘목 역시 결실된 과실의 숙기가 빠름을 확인하고 농업시험장의 협조를 얻어 1986년 새로운 품종으로 종묘 등록을 하므로써 상서조생이 품종화 되었다.
1. 생육 특성 나무의 특성은 송본조생부유와 거의 동일하다. 결과모지선단의 2~3개 눈이 발아 신장하며, 정부 우세성이 약하여 측지가 잘 신장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착과된 측지 전체가 밑으로 늘어지므로 측지를 받쳐주는 작업이 필요하며, 전정할 때 측지 갱신과 측지 절단이 중요하다. 가지, 잎 그리고 나무꼴 등의 형태는 송본조생부유와 동일할 뿐만 아니라 발아, 전엽 및 개화기도 비슷하다. 꽃눈의 착생은 송본 조생부유보다 약간 많고 생리적 낙과는 적어 매우 풍산성이나 격년 결과성을 보이지 않는다. 이 품종의 가장 큰 장점은 과실이 숙기가 빠르고 품질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숙기는 이 두 품종과 비슷하고 송본조생부유보다 10~15일 가량 빠르다. 원산지에서는 10월 상순부터 수확하여 10월 중하순에 종료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을 기준으로 10월 9일경부터 일부 출하가 가능하다. 과실은 허리부위가 약간 높고 둥근 모양을 띄고 있어 부유와 유사하다. 크기는 220~260g으로 대과이고 과피색은 짙은 등주황색으로 송본조생부유보다 짙은 편이며 과실전체가 선명하게 착색된다. 과실 당도는 15~16도로써 높고 떫은 맛이 전혀 없는 완전 단감으로 꼭지 부위까지 먹을 수 있고, 과실의 품질도 개체간 변화가 적은 극상의 품종이다. 육질은 부유보다 약간 연하고, 과육에 있는 갈반은 크기가 적은 편이다. 한편으로 상서조생품종의 단점은 9월의 고온에 의해 착색이 지연되고, 과실에 녹반증이 발생되기 쉽다.
2. 재배상의 유의점 송본조생부유보다 착화 상태가 양호하고 생리적 낙과가 적으므로 신초당 꽃을 한 개씩만 남기고 철저히 적과를 하도록 한다. 수분수가 재식되어 있을 경우 자연수분 하여도 결실이 양호하나, 수분수가 없거나 매개곤충의 활동이 어려운 기상조건일 경우에는 보조적으로 인공수분을 실시하여 품질 및 수량을 향상시킨다. 유목의 대과에서 꼭지들림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엽과비를 20정도로 조절한다면 꼭지들림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착색도 순조롭게 진행되어 10월 상중순에 수확이 가능하다. 다만 성목이 되면서 숙기가 약간 늦어지는 경향을 보이나 과다 착색과 방지, 완숙 퇴비의 1월 사용과 질소 과다시비를 회피한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9월의 고온이 계속될 때 착색이 지연되므로 남부 해안지역의 산간 경사지가 적지이다. 상서조생품종은 종자형성력이 약하여 종자수는 적으나 단위결실성이 강하여 결실이 양호하다. 그러나 종자가 형성되지 않으면 과실의 과정부가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품성이 저하되므로 종자가 생길 수 있도록 해야한다. 생력화 차원에서 자연수분도 결실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나 고품질과 생산을 위해서는 인공수분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가 많은 해에 과피에 녹반증이 발생되는바 산성토양을 pH 6.0~6.5 정도로 교정하고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패화석 등 석회나 완숙퇴비를 시용하며, 물 빠짐을 좋게 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양질의 고품질의 과실을 일력 수확하기 위해서는 일조와 통풍이 양호하고 물 빠짐이 양호한 경사지로써 토심이 깊고 지력이 좋은 땅이 적지이다. 과피 착색으로 볼 때 가을이 빨리 오는, 약간 표고가 높은 지역이 적합하다.
 |
갑주백목 |
|
|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
|
성명 : 손동수 |
|
전화 : 061-331-7278 |
|
|
|
|
|
|
|
|
1.육성경위 갑주백목(봉옥)은 일본에서 극히 오래된 품종으로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동종이명으로 봉옥, 부사 등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으며 당상봉옥과는 다른 품종이다. 원예시험장에서 1966년에 도입하여 주요 생육 및 결과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연시 및 곶감용으로 우량시되어 1981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
|
|
|
|
|
|
|
2. 주요특성 |
|
|
가. 생육특성 수세가 강하고 수자는 직립성으로 교목화되기 쉬운 품종이다. 일년생 가지는 굵고 마디 사이가 길며 잎이 타원형으로 크고 농녹색으로 광택이 강하다. 발아기 및 만개기가 늦고 꽃눈착생은 중정도이다.
나. 과실특성 숙기가 10월 중하순으로 나주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23일 경이다.과중은 250g으로 대과종이며 과피색은 등홍색으로 과정부를 중심으로 검고 작은 반점이 많다. 과육은 등홍색으로 치밀하며 난지 재배시 종자부근에 소량의 갈변이 생기는 불완전 떫은감이며 당도는 22°Bx로 극히 높아 연시용으로 적합하다.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 특성
품 종
|
만개기(월.일)
|
숙 기(월.일)
|
수꽃 착생
|
과 형
|
과 중(g)
|
당도(°bx)
|
과피색 |
갑주백목
|
6.12
|
10.23
|
무
|
장보주
|
250
|
22
|
등 홍 |
 그림 1. 감주백목의 성숙기
|
|
|
다. 내병충성 탄저병에 이병성이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수량성은 1,800㎏/10a으로 중정도이며 단위결실성이 낮으며 후기낙과가 심하다. 대과로서 외관이 미려하고 당도가 높아 연시용으로 적합하고 곶감용으로 우수하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
꼭지들림
|
용 도
|
수확전낙과
|
단위결과
|
품 질
|
수 량(㎏/10a)
|
갑주백목
|
극 소
|
연시, 곳감
|
다
|
약
|
극 상
|
1,800 | |
|
|
|
|
|
|
|
3. 적응지역 내한성이 있으며 따뜻한 남부지역에서는 후기 낙과가 심하므로 중부내륙 추운지방과 남부 따뜻한 해안지역을 제외한 남부지역에 적합하다.
4. 재배상의 유의점 |
|
- 단위결실력이 약하므로 수분수 혼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 마디 사이가 길고 신초 발생이 적으므로 예비지 전정, 갱신전정을 하여 결과부위 상승을 막고 결과모지를 확보한다.
- 후기 낙과가 심하므로 후기 신초 신장 억제를 위해 시비법을 개선하고 토양 수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한다.
- 탄저병에 약하므로 병해 방제에 힘쓴다.
|
|
|
|
|
|
|
|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農業技術大系(果樹編 4).
|
|
|
|
|
|
 |
대안단감 |
|
|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
|
성명 : 손동수 |
|
전화 : 061-331-7278 |
|
|
|
|
|
|
|
|
1. 육성경위 대안단감은 1981연에 원예시험장에서 전남 무안군 망운면 이원범씨 과수원에서 톱머리단감(일명 대홍시)으로 수집한 품종이다. 1987년까지 생육 및 과실특성 조사결과 극대과이며 외관이 미려한 완전단감으로서 상품성이 우수하여 ‘원예 마-2’로 계통번호를 부여하고 1988년에 ‘대안 단감’으로 명명하였다.
|
|
|
|
|
|
|
|
2. 주요특성 |
|
|
가. 생육특성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으로 1년생 가지는 굵고 길게 자라며 중장과지에 착과되면 결과지는 아래로 처진다. 엽은 타원형을 큰 편이다. 수세가 약하여 잔가지가 많이 발생하면 수꽃을 맺는다.
나. 과실특성 숙기는 10월 하순으로 만생종이며 나주지방에서 수확기가 10월 23일 경이다. 과중은 280g으로 대과종이며 과형은 편원형이고 과피는 등황색으로 매우 미려하다. 과육은 갈반이 전혀 없는 완전단감으로 과즙이 많으며 당도는 13.1°Bx로 부유보다 다소 낮다. |
|
|
|
|
|
그림 1. 대안 단감 |
|
|
|
|
|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
|
|
품 종 |
만개기(월.일) |
숙 기(월.일) |
수꽃 착생 |
과 형 |
과 중(g) |
당도(°Bx) |
과피색 |
대안단감 부 유 |
6.2 6.4 |
10.23 10.24 |
극 소 무 |
편 원 편 원 |
280 210 |
13.1 14.5 |
등 황 등 황 | |
|
|
|
|
|
|
|
|
다. 내병충성 탄저병에는 이병성이나 흰가루병에는 다소 강하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착과량이 많고 낙과가 적어 수량성이 2,100㎏/10a으로 풍산성이다. 삽미가 전혀 없는 완전단감이며 상온저장력은 15일 정도로 약하다. 과실 숙기가 다소 균일하지 못해 수상에서 연화되는 과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
|
|
|
|
|
|
|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
|
|
품 종 |
꼭지들림 |
저장력 |
수확전낙과 |
단위결과 |
품 질 |
수량(kg/10a) |
대안단감 부 유 |
극 소 소 |
약(15일) 중(20일) |
극 소 극 소 |
약 약 |
상 극 상 |
2,100 2,500 | |
|
|
|
|
|
|
|
3. 적응지역 내한성이 약해 연평균 기온이 13℃이상이며 겨울철 최저극기온이 -14℃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남부지방이 재배적지이며 만생종으로서 된서리 내리는 시기가 11월 상순 이후인 지역이 적합하다.
4. 재배상 유의할 점 |
|
- 대과 품종으로 과다착과될 경우 해거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과를 철저히 해야한다.
- 주로 암꽃만 착생하므로 반드시 수분수를 혼식한다.
- 결과지가 하수되어 극개장성을 띄며 수세가 약화되기 쉬우므로 변칙주간형으로 수형을 구성하고, 다소 밀식 상태로 재식해야 한다.
|
|
|
|
|
|
|
|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
|
|
|
|
|
|
|
|
 |
부유 |
|
|
|
|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
|
|
성명 : 손동수 |
|
|
전화 : 061-331-72780 |
|
|
|
|
|
|
|
|
|
|
|
1. 선발경위 부유는 일본 기후현에서 1902년에 우연실생으로 발견된 품종이다. 우리나라에는 1910년경에 도입되었다.
|
|
|
|
|
|
|
|
|
|
2. 주요특성 |
|
|
|
가. 생육특성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개장성으로 주간은 직립되나 측지는 늘어지기 쉬우며 결과년령은 빠르다. 가지는 굵기가 중정도이고 길게 자라며 절간장이 길다. 결과모지의 선단으로부터 3~4눈이 혼합아로서 그 눈에서 자란 신초에 꽃이 맺는다. 잎은 타원형으로 크며 발아기가 다른 품종보다 늦다. 단위결과성이 낮고 종자형성력이 높아 종자 형성이 되지 않는 과실은 일찍 낙과된다.
나. 결과특성 숙기는 11월 상순으로 만생종에 속하며 나주지방에서 수확기가 11월 4일경이다. 과중은 220g으로 중과종이며 과형은 편원형으로 과실끝이 둥글고 얕은 4개골이 있다. 과피는 등황색으로 과분이 많이 발생된다. 과육은 치밀하나 연하고 과즙이 많으며 약간의 갈반이 분포되는 완전 단감이다. 당도는 15.5°Bx로 높아 식미가 좋다.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품 종 |
만개기(월.일) |
숙 기(월.일) |
수꽃 착생 |
과 형 |
과 중(g) |
당도(°Bx) |
과피색 |
부 유 차 랑 |
6.1 5.3 |
11.4 10.31 |
무 무 |
편 원 편 방 |
220 230 |
15.5 16 |
등 황 등 홍 |
 그림 1. 부 유
|
|
|
|
|
|
|
|
|
|
|
다. 내병충성 탄저병, 흰가루병, 둥근무늬낙엽에 이병성이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암꽃착생이 많고 해거리가 적으며 수량성이 2,500㎏/10a로 풍산성이다. 상온저장력은 20일로 강하며 저온저장시에는 5~6개월로서 상품성이 우수하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
꼭지들림 |
수확전낙과 |
저 장 력 |
품 질 |
단위결과 |
수 량(㎏/10a) |
부 유 차 랑 |
소 중 |
극 소 극 소 |
강(20일) 약(10일) |
상 중 |
약 중 |
2,500 1,800 | |
|
|
|
|
|
3. 적응지역 부유감은 단감 안전재배지역인 남부지방이 재배적지이다. |
|
|
|
|
|
|
|
|
|
4. 재배상의 유의점 |
|
|
- 고욤 대목과는 접목친화성이 없으므로 공대를 사용해야 한다.
- 단위결과성이 낮고 종자형성이 강하므로 반드시 수분수를 혼식해야 한다.
- 유목기에는 절단전정을 하며 결과기에는 솎음전정을 위주로 하고 갱신전정 및 예비지 전정을 하여 가지의 늘어짐을 막는다.
|
|
|
|
|
|
|
|
|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
|
|
|
|
|
|
 |
서촌조생 |
|
|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
|
성명 : 손동수 |
|
전화 : 061-331-7278 |
|
|
|
|
|
|
|
|
1. 선발경위 서촌조생은 일본자하현 서촌침장씨의 감나무 과수원에서 우연실생으로 발견한 품종으로 부유와 적시의 자연교잡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1960년에 명명 보급되었다. 원예시험장(現 원예연구소)에서는 1968년에 도입하여 1981년에 추석용 극조생품종으로 선발하였다.
|
|
|
|
|
|
|
|
2. 주요특성 |
|
|
가. 생육특성 수세가 강하고 수자는 비교적 개장성이며, 가지 발생이 많고 길며 마디 사이가 짧다. 가지는 붉은 갈색이며 피목이 크고 껍질이 거칠다. 꽃눈착생이 양호하며 결실년령이 빠르다. 웅화착생은 중정도로 세력이 약한 가지에 주로 착생되며 개화기가 빠르고 꽃가루 양은 적은 편이다.
나. 과실특성 숙기가 9월 하순으로 극조생종이며 나주지방에서 수확기가 9월 25일경이다. 과중은 180g으로 중과종이며 과형은 단보주형으로 꼭지부분이 넓고 정단면이 뾰죽하다. 과피는 등홍색이며 과육은 거칠고 흑갈색의 갈반이 극히 많은 불완전 단감으로 종자가 없는 부위는 갈변이 없거나 적으며 그 부위는 떫은맛이 남는다. 당도는 15.0°Bx로 높은 편이다. 표 1 .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품 종
|
만개기(월.일)
|
숙 기(월.일)
|
수꽃 착생
|
과 형
|
과 중(g)
|
당도(°Bx)
|
과피색
|
서촌조생 조 홍 시 |
5.28 5.29 |
9.25 9.28 |
중 다 |
단보주 편 원 |
180 150 |
15 19 |
등 홍 등 홍 |
다. 내병충성 탄저병, 낙엽병에는 강하나 흰가루병에 이병성이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암꽃 착생수가 많으며 수량성이 2,100㎏/10a으로 중정도이다. 수송성은 좋으나 상온저장력이 10일로 약하다. 극조생 단감으로는 품질이 양호한 편이며, 특히 추석 출하용으로서 상품성이 매우 높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
꼭지들림 |
저장력 |
수확전낙과 |
단위결과 |
품 질 |
수량(kg/10a) |
서촌조생 조 홍 시 |
극 소 중 |
약(10일) 약(10일) |
극 소 소 |
약 약 |
중 중 |
2,100 1,700 | |
|
|
|
|
|
|
|
3. 적응지역 내한성이 약한 편으로 남부지방의 단감 완전재배지대에 재배해야 한다.
4. 재배상의 유의점 |
|
- 유목기에는 수꽃이 맺지 않거나 매우 적으므로 수분수 혼식 등이 바람직하며 인공수분이 필요하다.
- 세력이 약한 가지에 수꽃이 맺히므로 전정시에는 잔가지를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 시비방법은 만생종에 비하여 시비량을 줄이고 시비시기를 앞당겨 실시한다.
- 출하시 종자가 적게들어 있는 과실은 떫은맛이 남아 있으므로 외형 또는 선별기로 선과하여 탈삽후 출하한다.
|
|
|
|
|
|
|
|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農業技術大系(果樹編 4).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