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차

[스크랩] 보이차 이름중 숫자의 의미(7542.8582등)

태함산 2009. 4. 3. 16:05
보이차는 중국 8대 명차중 하나로
중국 남부의 운남성 등지에서 대엽종 찻잎으로 생산되는 명차입니다.
이 곳은 천칠백년 전 삼국시대 때부터 차를 생산해 왔던 곳으로 차의 고향이라고 불립니다.
보이차라는 이름은 운남성 보이현에서 이 차를 모아 출하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요.

보이차의 모양은
둥근 것, 네모진 것, 사발 모양의 덩어리 차와 낱잎으로 흩어져 있는 산차 등으로
여러 가지입니다.

차품(茶品)도 생차(生茶), 숙차(熟茶) 등으로 다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원난(雲南) 지방의 대엽종 차나무에서 딴 찻잎으로 만든다는 것입니다.

원난 지방에서는 찻잎을 매년 2월 하순에서 11월 중순까지 따고
일년중 300일 정도 찻잎이 자라며 어떤 품종은 일년 내내 찻잎의 채취가 가능합니다.

이런 것은 모두 원난 지방의 기후적인 특징 때문에 가능하며
원난 지방이 보이차의 절대산지가 된 이유중에 하나이기도 하지요.

보이차의 종류를 절기에 따른 전통적인 방법으로 구분하면
청명(淸明, 논농사를 준비하는 4월5일 전후)에서
곡우(穀雨, 본격적 농경이 시작되는 4월 20일경) 사이에 따는 차를 '춘첨(春尖)',

망종(芒種, 6월7일경)에서 대서(大署, 무더운 중복 무렵) 사이에 따는 차를 '이수(二水)',

백로(白露, 양력 9월9일 무렵)에서
상강(霜降, 늦가을로 양력 10월23일경) 사이에 따는 차를 '곡화(穀花)'라고 합니다.

춘첨과 곡화를 제일 좋은 차로 치는데
아마도 봄기운에 새로 돋은 싹과 첫 이슬을 맞은 잎이라서 그런게 아닌가 싶고,
보이차의 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세계 차나무 품종의 모수(母樹)라고까지 이야기 되어지는
대엽종 차나무에서 딴 잎을 햇빛에 말려 만든 것이 보이차의 원료입니다.

바로 만든 청병(靑餠)은 마셔 보면 한 참 때 청년같이 강하고 기운이 넘치고 싱싱하지만
부드럽게 감싸주는 맛은 모자랍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 겉으로 뛰던 기운이 가라 앉고
맑고 그윽하며 사람들을 매료시키는 깊은 차로 변합니다.

또 한 가지는 청병을 약 두 달간 인공으로 악퇴발효시킨 숙차(熟茶)가 있는데
탕색이 진한 붉은 빛이고 맛도 진하면서도 순하고 부드러워
일반 대중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수준의 차입니다.


보이차는 색깔과 모양, 심지어는 나이까지도 아주 다양합니다.
무엇보다도 마셔가면서 차의 맛, 색깔과 향기를 음미해 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겠죠.


보이차 숫자의 의미

보이차 중에는 숫자가 기재되어있는 차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7542. 7572. 7432와 같은 식으로 적혀있습니다.

예를 들어 7572를 해석해 보겠습니다.
앞에 있는 75는 생산연대를 나타냅니다. 세번째 숫자 7은 병차의 제조 원료가 되는 차청의 등급을 나타냅니다.
네번째 숫자인 2는 제조된 생산공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차는 75년도에 7급의 차청으로 맹해차창에서 만든차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7572는 현재 까지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7572라고
해서 다 같은 연도에 생산된 것이 아니라, 75년도에 최초로 만든 이 차의 제조공정으로 만든차를 지금도 같은
이름을 붙여 생산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 차창의 일련번호를 알아볼까요

1은 곤명차창
2는 맹해차창
3은 하관차창
4는 보이차창

이런 차호(茶號)는 일반적으로 4개의 숫자가 조합된 것이 기본이나 간혹 세자리 숫자나 다섯자리 숫자기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75671이란 차가 있는데요. 이 차호의 가운데 있는 6과 7은 차청의 등급을 가리킵니다.
6-7급의 창청의 등급이란 뜻입니다.
또 영문이 함께 적혀있거나 위에서 언급한 이론이 적용되지 않는
보이차도 있습니다.
각 차창에서 출품한 보이차의 종류를 알아볼까요?

운남차엽진출공사(성차사)
Y562, Y671, NY672, Y672, 75671, P901, P902, P201, P903, P904, N608, N808, F092, P123.

하관차창
7663, 7653, 7633, 7643, 8653, 8663, 76563, 76073, 76083, 76093, 76103, 76113, 76153.

맹해차창
7572, 7452, 8582, 8592, 7542, 79562, 79072, 79082, 79092, 79102 79122

곤명차창
7581, 421, 75671, 75071, 78081, 78091, 78101

보이차창
77074, 77084, 77094, 77104.
출처 : 다도향
글쓴이 : 화랑 원글보기
메모 :